업계동향
중국의 니켈선철 수출량 크게 늘어, 니켈 공급 대신?
조회수
4876
추천수
0
중국의 저품위 니켈 선철(low-grade nickel pig iron) 수출량이 지난 1월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테인리스 강 생산업체들이 높은 니켈 가격에 대한 부담으로 낮은 가격의 대체재를 찾기 시작했고 앞으로 아시아 지역에서 그 사용 비중이 높아질 것이라는 의견을 Macqurarie가 내놓았다.
중국 무역 데이터를 살펴보면, 일본 및 인도 행 페로니켈 수출량(니켈 선철 포함)이 크게 급증하였고, 대만의 스테인리스 강 생산업체들 또한 곧 수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맥쿼리는 언급했다.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니켈 가격에 의해 스테인리스 강 생산업체들은 값이 더 저렴한 대체재를 찾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 2005년, 중국에서는 필리핀에서 저품위의 니켈 광석을 수입하여 3-4% 니켈이 함유된 선철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지난 해 3만 톤을 생산하였고, 올해 4만 톤 내지 7만 톤에 이를 것으로 애널리스트들은 예상하고 있다.
지난 1월 일본 및 인도 행 중국의 페로니켈 수출량은 1,150톤으로 전년동기 103톤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골드만 삭스는 니켈 선철에 의해 전세계 니켈 시장은 예상보다 빠른 2008년에 공급 잉여를 보일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보통 20-40%의 니켈을 함유한 니켈 페로합금(Ferroalloy)보다 니켈 선철에 의한 수출이 크게 급증하면서 중국의 페로니켈 가격이 점차 상승하고 있다"라고 맥쿼리는 언급했다.
지금까지 니켈 선철은 200시리즈 스테인리스 강에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중국의 Baosteel Group사는 300시리즈 스테인리스 강에도 니켈 선철을 사용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선철 생산업체인 Fujian Wuhang Stainless Steel Products사는 올해 인도네시아와 월간 45만 톤의 광석을 수입하겠다는 장기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1분기는 필리핀 지역의 우기(雨期)로 선적물량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2분기부터 중국의 수요 강세와 더불어 선적물량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맥쿼리는 언급했다.
LME 니켈 가격(3개월 Official기준)은 금일 44,25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올해들어 34%가량 급등하였다.
<작성:KoreaPDS 물가 분석팀 , 출처:후버스>
중국 무역 데이터를 살펴보면, 일본 및 인도 행 페로니켈 수출량(니켈 선철 포함)이 크게 급증하였고, 대만의 스테인리스 강 생산업체들 또한 곧 수입할 것으로 보인다고 맥쿼리는 언급했다.
연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는 니켈 가격에 의해 스테인리스 강 생산업체들은 값이 더 저렴한 대체재를 찾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 2005년, 중국에서는 필리핀에서 저품위의 니켈 광석을 수입하여 3-4% 니켈이 함유된 선철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지난 해 3만 톤을 생산하였고, 올해 4만 톤 내지 7만 톤에 이를 것으로 애널리스트들은 예상하고 있다.
지난 1월 일본 및 인도 행 중국의 페로니켈 수출량은 1,150톤으로 전년동기 103톤에 비해 10배 이상 증가하였다.
골드만 삭스는 니켈 선철에 의해 전세계 니켈 시장은 예상보다 빠른 2008년에 공급 잉여를 보일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보통 20-40%의 니켈을 함유한 니켈 페로합금(Ferroalloy)보다 니켈 선철에 의한 수출이 크게 급증하면서 중국의 페로니켈 가격이 점차 상승하고 있다"라고 맥쿼리는 언급했다.
지금까지 니켈 선철은 200시리즈 스테인리스 강에만 사용되었다. 하지만 중국의 Baosteel Group사는 300시리즈 스테인리스 강에도 니켈 선철을 사용하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의 선철 생산업체인 Fujian Wuhang Stainless Steel Products사는 올해 인도네시아와 월간 45만 톤의 광석을 수입하겠다는 장기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1분기는 필리핀 지역의 우기(雨期)로 선적물량이 다소 줄어들었지만 2분기부터 중국의 수요 강세와 더불어 선적물량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맥쿼리는 언급했다.
LME 니켈 가격(3개월 Official기준)은 금일 44,250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였고 올해들어 34%가량 급등하였다.
<작성:KoreaPDS 물가 분석팀 , 출처:후버스>
* 출 처 : 매일경제신문 홈페이지(2007. 3. 14)